부산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엄경식 교수팀과 의생명융합공학부 정준수 교수 연구팀이 공동으로 마이크로 성형 기반 시신경 전기자극 장치를 개발하여 ‘npj Flexible Electronics’ (Impact factor: 12.4, JCR 상위 1.8 %)에 2025년 소개됐다.
논문 링크: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28-024-00378-0
이번 연구에서는 마이크로 열성형 기반 유연전극을 활용하여 망막색소변성증 (Retinitis Pigmentosa), 나이관련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질환으로 실명한 환자들을 위한 안전하고 효율적인 시신경 자극을 통한 시력 회복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부산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엄경식 교수팀과 미국 Brown 대학교 연구팀이 공동으로 금나노입자의 광열효과를 활용하여 시신경을 제어하고 이를 활용하여 시력 손상 쥐의 시력을 복원시키는 연구를 보여 ‘ACS Nano’ (Impact factor: 15.8, JCR 상위 6.3%)에 2025년 소개됐다.
논문 링크: https://pubs.acs.org/doi/10.1021/acsnano.4c14061
이번 연구를 통해 광수용체 손상으로 인해 시력을 손실한 환자의 시력을 비침습적으로 회복시킬 가능성을 보였다. 연구팀은 금나노입자가 주입된 쥐 안구에 비침습적으로 근적외선 레이저를 인가하여 시신경의 활성을 유도하였으며 정상/망막변성 쥐의 시력을 복원/회복시킬 수 있음을 보여 기존 전기적 인공시각장치를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선보였다.